BOM / DOM ???

TERAJOO
|2021. 4. 28. 20:56

#JAVAScript 란?

일단 BOM 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javascript 에 대해 알아보자.

javascript는 HTML과 CSS로 만들어진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변경해주는 언어. 경고창을 띄우고, 탭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Drag & Drop 기능의 웹 에플리케이션을 만들수 있다.

 

예전에 Javascript는 원래 많이 인기없는 언어였다. 허나 구글이 지도 서비스를 내 놓자 HTML/CSS 만으로도 플래쉬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 거기에 ajax 열풍이 가세하면서 favascript의 중세는 끝이 난다. 자바스크립트의 재조명과 스티브 잡스의 플래쉬 혐오, HTML5의 등장이 맞물리면서 플래쉬의 입지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고, 그 빈자리를 빠르게 자바스크립트가 대체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자바스크립트가 브라우저에서만 사용되는 언어에서 벗어나서 서버에서도 사용되고 (node.js) 데스크탑 에플리케이션 (adobe air)에서도 사용된다. 플래쉬 역시 그 안에서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기능이 별로 없는 언어이다. 그러면서도 프로그램이의 앙꼬에 해당하는 요소들 이를테면, 변수, 반복, 조건, 함수 심지어 객체까지 모두 가지고 있는 본격적인 프로그램이 언어이다.

 

1. 웹 브라우저 자바스크립트

순수한 자바스크립트 기술을 이용해서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는 것이 간결한 방법이다. 하지만 오늘날 순수한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방법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더 적은 코드로 더 강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각종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떄문이다.

 

만약 순수 자바스크립트 만으로 웹브라우저를 제어하는 것은 다소 현실성이 떨어질 것이고, 특정 라이브러리에 대해서만 공부한다면 해당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기능에 갇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좀더 원론적으로 파보려고 한다.

 

DOM 이라는 것은 현재 직접 사용하지는 않는다. jquery, yui 등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간결하게 사용한다. 이러면 훨씬 더 적은 코드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즉, 브라우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DOM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 있어야 더 쉽고 간편하게 웹을 제어할 수 있다.

 

2. Javascript 로드하기


  • inline 방식
  • script 로드
  • 외부파일에서 로드

참고로 가끔씩 script 를 head 에 위치하였는데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두루 있다. 왜냐 스크립트를 가져오는 타이밍이 원하는 대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window.onload = function() {  }

이라는 함수를 도입해 모든 element 에 대한 로드가 끝났을 때, 브라우저에 의해서 호출되는 함수를 사용해 오류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허나 script 파일은 head 태그보다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시키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다.

 

3. Object 모델

                                   
  생활코딩 출처

웹 브라우저의 구성요소들은 하나하나가 객체화 되어 있다. 자바스크립트로 이 객체를 제어해서 웹 브라우저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해당 객체들은 그림과 같이 서로 계층적인 관계로 구조화되어 있다.

BOM 과 DOM 은 이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큰 틀의 분류라고 할 수 있다.

 

BOM 은 웹페이지의 내용을 제외한 브라우저의 각종 요소들을 객체화시킨 것이다. 전역객체 window 의 프로퍼티에 속한 객체들이 이에 속한다.

 

DOM 은 웹페이지의 내용을 제어한다. document 객체가 이러한 작업을 담당한다. 뒤에서 알아보겠지만 특정한 선택자를 뽑아낼 수도 있고, 속성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4. BOM

BOM(Browser OBject Model) 이란 웹 브라우저의 창이나 프레임을 추상화해서 프로그래밍적으로 제어할 수 있또록 제공하는 수단이자 객체를 말한다.

BOM 은 전역객체인 Window 의 프로퍼티와 메소드들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BOM 에 대한 공부는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와 메소드의 사용법에 대해 공부하는 거라 봐도 된다.

그러면 window 객체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① 전역객체 window

거의 모든 객체들이 소속되어있는 window 객체로써 전역객체라고도 불린다. 즉, 전역객체이면서 창이나 프레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script>
	    alert('Hello world');
	    window.alert('Hello world');
	</script>
	<body>
	 
	</body>
</html>

window 객체는 식별자 window 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생략 가능하다. window 객체의 메소드인 alert 를 호출하는 방법은 위와 같다. 여튼, 우리가 쓰는 거의 모든 메소드들은 window 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script>
	    var a = 1;
	    alert(a);
	    alert(window.a);
	</script>
	<body>
	 
	</body>
</html>

이러한 예제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전역변수와 함수가 사실은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와 메소드라는 것이다. 또한 모든 객체는 사실 window의 자식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ECMAScript에서는 Global 객체라고 부른다. ECMAScript의 Global 객체는 호스트 환경에 따라서 이름이 다르고 하는 역할이 조금씩 다르다. 웹 브라우저 자바스크립트에서 window 객체는 ECMAScript의 전역객체이면서 동시에 웹브 라우저의 창이나 프레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②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 하기

HTML은 form을 통해서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자바스크립트에는 사용자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간편한 수단을 제공한다.

  • alertalert는 경고창이라고도 부르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디버깅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한다. 현재는 디버깅용도로 console.log 를 많이 사용한다.
  • confirmconfirm 역시 alert와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확인을 누르면 true를 반환하고, 취소를 누르면 false를 반환한다는 점을 기억하자. 이걸로 또 상호 작용할 수 있으니까.
  • promptprompt 역시 경고창이 뜨는 건데 이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서 그 값을 반환하는 것이다. 이 때 입력값이 없으면 null 을 반환하니 이걸 이용해서 또 코딩할 수 있을 것이다.

 

③ Location 객체

location 객체는 문서의 주소와 관련된 객체로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다. 이 객체를 이용해서 윈도우의 문서 URL을 변경할 수 있고, 문서의 위치와 관련해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URL을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을 잘 기억하자.

console.log(location.toString(), location.href);

이것은 현재 윈도우의 문서가 위치하는 URL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둘 다 비슷한 반환 값이라 어느 것을 쓰든 상관없다.

 

참고로 alert같은 경우는 인자로 들어오는 값은 무조건 문자열이기 때문에 객체를 인자로 넣어도 toString()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loaction 을 인자로 넣으면 url을 반환하여 출력한다.

console.log(location.protocol, location.host, 
					location.port, location.pathname, location.search, location.hash)

 


  • location.protocol => http:
  • location.host => 도메인( 호스트라함은 서버의 도메인 네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location.port => 필요에 따라 해당 서버의 어느 포트를 사용하는지 명시한다.
  • location.pathname => 서버컴퓨터의 어느 경로에서 정보를 받아오는지 반환한다.
  • location.search => ?뒤에 따라오는 정보를 반환
  • location.hash => #뒤에 따라오는 정보를 반환, #북마크라함은 해당 위치에 북마크를 칠해놓는 개념이다.

url 변경하는 방법도 있다. 사용자를 다른 href 로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loaction 객체를 사용할 수 있다.

location.href = 'http://terajh.net'이것은 현재 문서를 http://terajh.net 으로 이동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location = 'http://terajh.net' 역시 같은 의미를 가진다. 참고로 location.reload() 는 현재 문서를 리로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④ Navigator 객체

브라우저의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이다. 주로 호환성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cross browsing]

이 세상에는 아주 많은 브라우저들이 있다. 크롬, 인터넷, 파이어폭스 등등 이 들의 동작 방법은 w3c 에서의 ECMA 스펙에 따라 브라우저를 만든다. 때문에 스펙에 맞는 부분은 비슷하지만 스펙에 없는 분야는 다르게 코딩한다. 때문에 때에 따라 브라우저의 호환성을 확인해야 한다. 이런 문제를 크로스 브라우징이라고 한다.

참고로 처음으로 상용화된 성공적인 브라우저는 넷스케이프였다. 이 때 도입된 언어가 자바스크립트이다. 이 때 마이크로소프트가 ie를 만들어 브라우저 전쟁에 뛰어든다. 이 때 자바스크립트의 메소드 명칭이 서로 달라지게 되는 등 여러 불편함이 생기게 되었고, 그에 따라 웹 표준이 생겼다. 즉, 웹 표준대로 메소드 명을 통일 화 하고, 동일한 API 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때문에 이 기능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전쟁 방향이 바뀌게 되었다.

console.dir(navigator);

이 명령어를 통해 navigator의 모든 객체 프로퍼티를 열람할 수 있다.

 

  • appName ex) navigator.appName
    • 웹브라우저의 이름이다. IE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 크롬등은 nescape로 표시된다.
  • appVersion ex) navigator.appVersion
    • 브라우저의 버전을 의미한다.
  • userAgent ex) navigator.userAgent
    • 브라우저가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USER-AGENT HTTP 헤더의 내용이다.
  • platform 브라우저가 동작하고 있는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다.

※ 기능 테스트

Navigator 객체는 브라우저 호환성을 위해서 주로 사용하지만 모든 브라우저에 대응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아래와 같이 기능 테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선호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object.keys라는 메소드는 객체의 key 값을 배열로 리턴하는 object의 메소드다. 이 메소드는 ECMAScirpt5에 추가되었기 때문에 오래된 자바스크립트와는 호환되지 않는다. 아래의 코드를 통해서 호환성을 맞출 수 잇다.

 

if (!Object.keys) {
  Object.keys = (function () {
    'use strict';
    var hasOwnProperty = Object.prototype.hasOwnProperty,
        hasDontEnumBug = !({toString: null}).propertyIsEnumerable('toString'),
        dontEnums = [
          'toString',
          'toLocaleString',
          'valueOf',
          'hasOwnProperty',
          'isPrototypeOf',
          'propertyIsEnumerable',
          'constructor'
        ],
        dontEnumsLength = dontEnums.length;
 
    return function (obj) {
      if (typeof obj !== 'object' && (typeof obj !== 'function' || obj === null)) {
        throw new TypeError('Object.keys called on non-object');
      }
 
      var result = [], prop, i;
 
      for (prop in obj) {
        if (hasOwnProperty.call(obj, prop)) {
          result.push(prop);
        }
      }
 
      if (hasDontEnumBug) {
        for (i = 0; i < dontEnumsLength; i++) {
          if (hasOwnProperty.call(obj, dontEnums[i])) {
            result.push(dontEnums[i]);
          }
        }
      }
      return result;
    };
  }());
}

 

⑤ 창 제어

window.open 메소드는 새 창을 생성한다. 현대의 브라우저는 대부분 탭을 지원하기 떄문에 window.open 은 새 창을 만든다. 메소드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2번째 인자의 종류

  • _self : 현재 창에서 실행
  • _blank : 새 창에서 실행
  • ot : 이름을 붙여서 실행

→ 세번째 인자 : 그냥 모양에 관련된 (style)

<!DOCTYPE html>
<html>
<style>li {padding:10px; list-style: none}</style>
<body>
<ul>
    <li>
        첫번째 인자는 새 창에 로드할 문서의 URL이다. 인자를 생략하면 이름이 붙지 않은 새 창이 만들어진다.<br />
        <input type="button" onclick="open1()" value="window.open('demo2.html');" />
    </li>
    <li>
        두번째 인자는 새 창의 이름이다. _self는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창을 의미한다.<br />
        <input type="button" onclick="open2()" value="window.open('demo2.html', '_self');" />
    </li>
    <li>
        _blank는 새 창을 의미한다. <br />
        <input type="button" onclick="open3()" value="window.open('demo2.html', '_blank');" />
    </li>
    <li>
        창에 이름을 붙일 수 있다. open을 재실행 했을 때 동일한 이름의 창이 있다면 그곳으로 문서가 로드된다.<br />
        <input type="button" onclick="open4()" value="window.open('demo2.html', 'ot');" />
    </li>
    <li>
        세번재 인자는 새 창의 모양과 관련된 속성이 온다.<br />
        <input type="button" onclick="open5()" value="window.open('demo2.html', '_blank', 'width=200, height=200, resizable=yes');" />
    </li>
</ul>
<script>
function open1(){
    window.open('demo2.html');
}
function open2(){
    window.open('demo2.html', '_self');
}
function open3(){
    window.open('demo2.html', '_blank');
}
function open4(){
    window.open('demo2.html', 'ot');
}
function open5(){
    window.open('demo2.html', '_blank', 'width=200, height=200, resizable=no');
}
</script>
</body>
</html>

 

*새 창에 접근

<!DOCTYPE html>
<html>
<body>
    <input type="button" value="open" onclick="winopen();" />
    <input type="text" onkeypress="winmessage(this.value)" />
    <input type="button" value="close" onclick="winclose()" />
    <script>
    function winopen(){
        win = window.open('demo2.html', 'ot', 'width=300px, height=500px');
    }
    function winmessage(msg){
        win.document.getElementById('message').innerText=msg;
    }
    function winclose(){
        win.close();
    }
    </script>
</body>
</html>

* 팝업 차단

사용자의 인터렉션 없이 창을 열려고 하면 팝업이 차단된다고 한다.

<!DOCTYPE html>
<html>
<body>
    <script>
    window.open('demo2.html');
    </script>
</body>
</html>

웹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기능이 우리의 브라우저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면 그것이 바로 보안 취약점이다. 때문에 브라우저에서 어떤 스크립트를 실행되게 할 지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도메인에 있는 서버와 사용자라면 자유자재로 값을 변경할 수 있지만 다른 도메인인 경우 원격하는 데에 제한이 생긴다 이것을 팝업 차단이라고 한다.

즉 window.open 은 팝업 차단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5. DOM

웹 페이지를 자바스크립트로 제어하기 위한 객체 모델을 의미한다. window 객체의 document 프로퍼티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다. window 객체가 창을 의미한다면 document 객체는 윈도우에 로드된 문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5.1. 제어 대상 찾기

문서를 자바스크립트로 제어하려면 제어의 대상에 해당되는 객체를 찾는 것이 제일 먼저 할 일이다. 문서 내에서 객체를 찾는 방법은 document 객체의 메소드를 이용한다.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
  •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
  • document.getElementById
  • document.querySelector
  • document.querySelectorAll

 

5.2. Jquery

현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이다. 이것을 이용해서 훨씬 쉽게 원하는 태그나 DOM을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다. 즉, 웹페이지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이다. jquer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jQuery를 HTML로 로드해야 한다. 아래는 jQuery를 로드하는 방법이다.

<script
 src="//code.jquery.com/jquery-1.11.0.min.js">
</script>
<script>
    jQuery( document ).ready(function( $ ) {
      $('body').prepend('<h1>Hello world</h1>');
    });
</script>

 

5.3. HTMLElement

getElement* 메소드를 통해서 원하는 객체를 조회했다면 이 객체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작업을 처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획득한 객체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그래야 적절한 메소드나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있다.

<ul>
    <li>HTML</li>
    <li>CSS</li>
    <li id="active">JavaScript</li>
</ul>
<script>
    var li = document.getElementById('active');
    console.log(li.constructor.name); // HTMLElement
    var lis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li');
    console.log(lis.constructor.name); // HTMLCollection
</script>

즉, 각 객체의 이름, 데이터타입이 각각과 같다는 것이다.

결과 값이 하나인 경우 HTMLElement, 복수인 경우 HTMLCollection 을 리턴하고 있다. Collection 은 유사배열이라고 생각하자.

 

* 단수

실행결과가 하나인 엘리먼트들을 좀 더 보면

<a id="anchor“
 href="http://opentutorials.org">opentutorials</a>
<ul>
    <li>HTML</li>
    <li>CSS</li>
    <li id="list">JavaScript</li>
</ul>
<input type="button" id="button" value="button" />
<script>
    var target = document.getElementById('list');
    console.log(target.constructor.name); // HTMLELement
 
    var target = document.getElementById('anchor');
    console.log(target.constructor.name); // HTMLAnchorElement
 
    var target = document.getElementById('button');
    console.log(target.constructor.name); // HTMLInputElement
</script>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엘리먼트의 종류에 따라서 리턴되는 객체가 조금씩 다르다는 것이다.

 

*DOM Tree

모든 엘리먼트는 HTMLElement의 자식이다. 따라서 HTMLElement의 프로퍼티를 똑같이 가지고 있다. 동시에 엘리먼트의 성격에 따라서 자신만의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엘리먼트의 성격에 따라서 달라진다. HTMLElement는 Element의 자식이고 Element는 Node의 자식이다. Node는 Object의 자식이다. 이러한 관계를 DOM tree 라고 한다.

이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이러한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면 필요한 API를 찾아내는 것이 어렵거나 몹시 혼란스러울 것이다. 다행인 것은 jQuery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이용한다면 이러한 관계를 몰라도 된다.

 

*HTMLCollection

HTMLCollection 은 리턴결과가 복수인 경우에 사용하게 되는 객체다. 유사배열로 배열과 비슷한 사용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배열은 아니다.

<!DOCTYPE html>
<html>
<body>
<ul>
    <li>HTML</li>
    <li>CSS</li>
    <li id="active">JavaScript</li>
</ul>
<script>
	console.group('before');
	var lis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li');
	for(var i = 0; i < lis.length; i++){
	    console.log(lis[i]);
	}
	console.groupEnd();
	console.group('after');
	lis[1].parentNode.removeChild(lis[1]);
	for(var i = 0; i < lis.length; i++){
	    console.log(lis[i]);
	}
	console.groupEnd();
</script>
</body>
</html>

 

이 복수형은 특이점이 있는데 바로 목록이 실시간으로 변경된다는 것이다. 즉, 태그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이 유사배열 내의 값도 달라진다.

cf) console.group 은 그룹 별로 콘솔에 띄워주는 매소드이다. 예를 들어 group('before') 이라고 치면 해당 before 트리가 생긴다. 즉 위의 코드를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그룹을 끝내고 싶으면 console.groupEnd() 를 호출하면 된다.

 

5.4. Element 객체

element 객체는 엘리먼트를 추상화한 객체다. HTMLElement 객체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DOM의 취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야 한다.

DOM은 HTML만을 제어하기 위한 모델이 아니다. HTML이나 XML, SVG, XUL 과 같이 마크업 형태의 언어를 제어하기 위한 규격이기 때문에 Element는 마크업 언어의 일반적인 규격에 대한 속성을 정의하고 있고, 각각의 구체적인 언어를 위한 기능은 HTMLElement, SVGElement, XULElement와 같은 객체를 통해서 추가해서 사용하고 있다.

 

*다른 객체들과의 관계

DOM의 계층구조에서 Element 객체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

                               

이 때 왜 굳이 Element 와 HTMLElement 를 나누었을까?

마크업 언어를 제어하기 위한 규격이 DOM 이라, 다른 말로 DOM 표준은 HTML, XML, SVG, XUL 등등의 마크업 들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Element 들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Element 객체를 따로 두었다.

예를 들어 style 이라는 프로퍼티는 Element에는 없고 HTMLElement 에 있는 프로퍼티이다. (다른 언어는 필요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프로퍼티는 개발자 도구에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다. 밑으로 갈수록 상속 관계이니 직접 확인해보자.

 

*주요 기능

1) 식별자

문서 내에서 특정한 엘리먼트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API

엘리먼트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그 엘리먼트를 조회하기 위한 식별자가 필요하다. HTML에서 엘리먼트의 이름과 id 그리고 class 는 식별자로 사용된다. 식별자 API는 이 식별자를 가져오고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 Element.classList
  • Element.className
  • Element.id : 말 그대로 엘리먼트의 id 값을 가져온다.
  • Element.tagName : 해당 엘리먼트의 태그 이름 얻어낸다.

 

2) 조회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를 조회하는 API

  • Element.getElementsByClassName
  • Element.getElementsByTagName
  • Element.querySelector
  • Element.querySelectorAll
<ul>
    <li class="marked">html</li>
    <li>css</li>
    <li id="active">JavaScript
        <ul>
            <li>JavaScript Core</li>
            <li class="marked">DOM</li>
            <li class="marked">BOM</li>
        </ul>
    </li>
</ul>
<script>
    var list =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marked');
    console.group('document');
    for(var i=0; i<list.length; i++){
        console.log(list[i].textContent);
    }
    console.groupEnd();
     
    console.group('active');
    var active = document.getElementById('active');     
    var list = active.getElementsByClassName('marked');
    for(var i=0; i<list.length; i++){
        console.log(list[i].textContent);
    }
    console.groupEnd();
</script>

3) 속성

엘리먼트의 속성을 알아내고 변경하는 API

  • Element.getAttribute(name)
  • Element.setAttribute(name, value)
  • Element.hasAttribute(name);
  • Element.removeAttribute(name);

5.5. 노드 객체

node 객체는 DOM에서 시조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거의 최상위의 객체이다. 다시 말해서 모든 DOM 객체는 Node 객체를 상속 받는다. Node 객체의 위상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관계

엘리먼트는 서로 부모, 자식, 혹은 형제자매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Node가 다른 Node와 연결된 정보를 보여주는 API를 통해서 문서를 프로그래밍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 Node.childNodes
  • Node.firstChild
  • Node.lastChild
  • Node.nextSibling
  • Node.previousSibling
  • Node.contains()
  • Node.hasChildNodes()

 

노드의 종류

Node 객체는 모든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객체이기 때문에 각각의 구성요소가 어떤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인지를 알려주는 식별자를 제공한다.

  • Node.nodeType
  • Node.nodeName

 

Node 객체의 값을 제공하는 API

Node.nodeValue

Node.textContent

 

자식 관리

Node 객체의 자식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한 API

Node.appendChild()

Node.removeChild()

 

 


참고링크

  • opentutorial 자바스크립트 강의